[공지] 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권한 부족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신 편집 요청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알림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이 문서는 분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분류:분류에서 적절한 분류를 찾아 문서를 분류해주세요!
수정 금지
'광토리/위키 일지'의 하위 문서들은 어떠한 사유가 있어도 수정을 금지합니다. (단, 의견 문단은 일반 이용자도 수정 가능합니다.)

1. 광토리의 생각
1.1. 원인1.2. 하지만1.3. 그래서 결론은

1. 광토리의 생각[편집]

1.1. 원인[편집]

원인은 리그베다 위키 때문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 이유는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가 있었기 때문.

사유화 사태를 대충 정리하자면 저작권 정책을 변경하여 힘들게 사용자들이 기여한 것을 리그베다 위키에 기부한다는 단어를 추가해 기여분들을 사유 재산화하려고 하였고, 법적으로 문제가 생긴다면 사용자가 책임을 져야 하며, CCL에는 비영리가 적용되어 있으나 광고로 수익을 얻으려고 했다가 되겠다.

정리하자면 내 블로그에 자신의 글을 올리면 자신이 돈을 벌 수 있지만 위키에 올리면 자신이 아닌 위키 소유자가 돈을 벌게 되니 배가 아프다...가 되지 않을까.

1.2. 하지만[편집]

위키 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해선 돈이 꽤 든다.

당장 서버도 돈이고, 도메인도 돈이기 때문이다. 도메인은 1년에 만원 정도니까 얼마되진 않지만 서버는 한달에 6-7천원이 나가기에 생각보다 큰 지출이다. 위키 사용자가 많아지면 서버의 성능을 더 높은 것으로 올려야 하는 것도 있을테고.

위키백과처럼 기부로도 돌아간다면 광고를 달 필요는 없지만 우리는 조그만한 위키기에 기부로 돌아가지 않고, 그렇다고 부자도 아니니까 광고로 수익을 벌긴 해야한다.

실제로 CCL의 NC(비영리)를 달아놓고 광고를 다는 사이트들도 많다. 알파위키 문서를 참고하면 알 수 있다.

1.3. 그래서 결론은[편집]

광고를 달았지만 비영리를 지키기 위해서 수익 공개를 하게 된 것이 아닐까... 그렇기에 다양한 위키들[1]이 수익을 공개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1] 리브레 위키, 더위키 등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SA 4.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오픈 소스가 아닌 다올위키의 고유한 디자인을 무단으로 도용하는 것과, 운영 문서를 포함한 모든 문서를 라이선스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가져가는 행동은 저작권 위반이며 법적 책임을 물 수 있습니다.